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공부

조정대상지역 취득세 정리 (20.07.10 부동산 대책 이후)

조정대상지역과 그에 따른 취득세를 잘 알아야 합니다.

조정대상지역 취득세 (20.07.10 부동산 대책 이후)

7.10 부동산 대책 이후로 많은 것들이 바뀌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는 것은 취득세가 어떻게 변했느냐 하는 것이겠죠. 7.10 부동산 대책 이후 취득세에 생긴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7.10 대책 이전 4주택 이상 보유할 때에만 취득세가 늘어남 (취득세 중과)
7.10 대책 이후 조정대상지역이면 2주택, 비조정대상지역이면 3주택 이상 보유할 때 취득세가 늘어남 (취득세 중과)

 

이전에는 2주택, 3주택을 취득할 때 취득세 부담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7.10 대책 이후에는 2주택 이상 취득하려면 취득세에 대한 부담을 느끼게 됩니다. 7.10 대책 이후 취득세에 대한 부담이 얼마나 늘어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구분 1주택 2주택 3주택 4주택 이상
조정대상지역 1% ~ 3% 8% 12% 12%
비조정대상지역 1% ~ 3% 1% ~ 3% 8% 12%

예를 들어서 조정대상지역의 아파트를 취득하는 경우를 가정해보겠습니다. 아파트의 매매가는 10억원입니다. 

 

7.10 대책 이전에는 3%가 적용되니까 취득세는 3,000만원입니다. 

7.10 대책 이후에는 8%가 작용되니까 취득세는 8,000만원입니다. 

종래에 내던 취득세의 2배 이상을 내야 합니다. 

 

만약 3번째 집을 취득하는 경우 그 차이는 더 커집니다.

7.10 대책 이전에는 3%가 적용되어 3,000만원입니다. 

7.10 대책 이후에는 12%가 적용되어 1억 2,000만원이 됩니다. 

종래에 내던 취득세의 4배가 됩니다. 취득가의 10분의 1이상을 세금으로 다 내게 됩니다. 

 

취득세 계산은 철저하게

이렇게 부담이 커진 만큼 취득세 계산이 매우 중요합니다. 개정된 내용을 잘 모르고 이전 기준으로 생각하다가는 예상 밖의 취득세 때문에 난감해질 수 있습니다.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 사용하는 법을 잘 모르는 분들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취득세에 관해 변화된 내용들 잘 숙지하셔서 부동산 거래하실 때 어려움이 없으시길 바랍니다.